주식공부3 주린이를 위한 주식관련 해외사이트 모음 주식에 투자하려면 기본적으로 내가 투자하려는 기업에 대한 다양한 지표를 분석하고, 여러 기사를 통해 정보를 습득하는 습관을 길러야한다. '단순히 어떤 주식이 좋다더라, 누가 그 주식을 추천하더라'라는 식의 카더라에 속으면 돈을 잃기 쉽다. 어떤 책에서 그런 말을 본 적이 있다. 부동산을 하나 사기 위해서는 그렇게 발품을 팔며 좋은 집을 실제로 보고 다니면서, 정작 주식을 살 때는 남들이 하는 말에, 오늘의 감정에 휩쓸려 사기 쉽다고. 이 말에 너무나 공감하고 동의가 되었다. 내 투자금이 올바른 곳에 쓰이게 하기 위해서는 철저한 분석이 필요하며, 오랜 시간을 들여 정보를 해석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야한다. 그래야 손실을 막을 수 있다. 아래에 유용한 사이트 들을 모아 두었으며, 나는 해외 주식 위주로 투자.. 2020. 9. 3. 재무제표 이해하기 (재무상태표, 손익계산서, 현금흐름표) "주식투자할때 재무제표를 보는 것은 기본중의 기본이다" 주식 투자를 시작한지는 시간이 좀 흘렀는데, 사실 재무제표를 보고 투자한적이 없다.. ㅠㅠ (반성!!) 미주부님의 유튜브 영상을 보다, 재무제표 관련 내용을 한 번 정리해보았다. https://www.youtube.com/watch?v=EV-LKaZS_tY 1. 재무상태표 (Balance Sheet) 기업의 모든 재산 내역을 볼 수 있는 표 자산 = 자본(내돈) + 부채(빌린돈) - 자본: 사업을 위해 내 돈이 얼마가 들어갔는가 - 부채: 부족한 돈을 어떻게 조달했는가 - (비)유동자산: 이 돈을 어떻게 썼고, 남은 돈은 얼마가 있는가 * 자산(차변)과 자본+부채(대변)이 같아야 한다!! 자산(차변) 자본+부채(대변) 유동자산 당좌자산 현금, 단개매.. 2020. 8. 13. 주식 투자지표 정리 (ROE, PER, PBR 등) 1. ROE(Return On Equity) : 자기 자본 대비 이익률 ROE = (회사의 당기 순이익 / 자기자본) * 100 투입한 자기자본으로 얼마만큼의 이익을 냈는지를 나타내는 지표 기업이 자기자본(주주자본)을 활용해 1년간 얼마를 벌어 들였는가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수익성 지표로, "경영효율성"을 나타낸다. 2. ROIC(Return on Invested Capital) : 투하 자본 이익률 ROE와 마찬가지로 투하한 자본 대비 얼마나 이익을 내는지 보여주지만, 투하한 자본에 부채까지 포함해 계산한다는 점이 다르다. 3. ROA(Return On Assets) : 총 자산 대비 이익률 4. EPS(Earnings Per Share) : 주당 순이익 1주당 얼마의 금액을 이익으로 가져갈 수 있는가 .. 2020. 8. 12. 이전 1 다음